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1-296호
2021년도 대학ICT연구센터육성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공고
2021년도 대학ICT연구센터육성지원사업(ITRC)의 신규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,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관련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2021년 3월 15일
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
| □ 사업목적   ○ ICT 유망기술 분야의 첨단 연구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국가 혁신성장을 견인할 ‧박사급 핵심 연구인력 양성  □ 공고기간 : 2021. 3.15.(월) ~ 2021. 4.28.(수), 45일간   ○ 전산접수기간 : 2021. 4.15.(목)~2021.4.28.(수) 15:00까지(EZone 시스템 시간 기준) | 
□ 지원대상
ㅇ ICT분야 대학원이 설치된 국내 대학(원)
□ 지원규모
ㅇ 8개 과제 신규 선정
- 1차년도는 과제당 4억원 수준(2∼8차 연도는 연 8억원 수준) 
* ‘22년 이후 정부지원연구개발비는 향후 사업예산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
□ 지원기간
ㅇ 최장 8년(1단계 : 2년, + 2단계 : 4년, + 3단계 : 2년)
- 1단계 평가결과에 따라 연구개발비 차등 지원(상/하위 10%에 대해 연구개발비 10% 증/감액)
- 2단계 평가결과에 따라 3단계(2년) 추가 지원 여부 결정
1. 지원 내용 및 분야 
□ 지원내용
ㅇ ICT 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에 필요한 운영비용
- 연구개발비 예산은 <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>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대학 자율로 편성하되 간접비의 60% 이상은 사업에 활용
□ 지원 분야
ㅇ품목지정 : 7개
- 제시된 품목(중분류 기준) 내에서 대학이 자유롭게 지원
*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는 세부 연구 분야 및 연구 조건 등에 대해 추가 공지 예정(3.30.(화), IITP 홈페이지, www.iitp.kr)
- 단, 연구개발계획서의 세부 프로젝트 중 1개 이상은 세분류(세분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소분류) 기술을 주제로 연구개발 수행
| 분류 | 중분류 | 과제수 | 소분류-세분류 | 
| 블록체인· 융합 | 사물인터넷 | 1 | 디지털트윈 - 디지털 지능 트윈 플랫폼 및 관리 기술 | 
| 블록체인 | 1 | 블록체인 기반기술 | |
| SW·AI | 컴퓨팅 시스템 | 1 | 차세대컴퓨팅 | 
| 방송·콘텐츠 | 디지털콘텐츠 | 1 | 몰입형콘텐츠 | 
| 미래통신· 전파 | 차세대통신 (이동통신) | 1 | 무선통신 시스템 -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| 
| 차세대통신 (네트워크) | 1 | - | |
| 디바이스 | 인공지능 반도체 | 1 | - | 
ㅇ 품목미지정 : 1개(자유공모)
- 지정된 기술품목 이외의 분야에 대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과제를 발굴하여 지원
* 지정공모된 품목과 유사․중복되는 과제 지원 불가(ICT연구개발 기술분류체계 참고)
2. 신청자격 및 참여조건
□ 신청 자격
ㅇ 신청대상 : ICT분야 대학원이 설치된 국내 대학(원) 
- ICT 이외의 이공계․인문․사회․예술․디자인 등 타분야와 융합연구 허용 
-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중소‧중견기업과 공동연구 가능
| ☞ 과제에 참여하는 교수(연구교수, 산학협력중점교수 제외)의 과반(1/2 이상)을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소속교수로 구성    ☞ 인력양성 편중 방지를 위해 주관연구개발기관은 동일 분야(중분류 기준)에 2개 이상의 과제 지원 불가 예시) 1. A대학은 동일 품목(차세대통신)인 ‘이동통신’, ‘네트워크’ 중 1개 분야만 지원 가능         2. A대학은 서로 다른 기술 품목(차세대통신, 컴퓨팅 시스템 등)에 각각 1개씩 지원 가능 * 캠퍼스(Campus)는 동일대학을 의미하며, 교육부고시 기준으로 분교인 경우 별도대학으로 인정 | 
◦ 참여인력 : full-time 석·박사 과정 재학생 40인 이상
| ☞ 과제 접수 시점 기준 석‧박사 과정 재학생 40명이 충족되어야 함 ☞ 센터장이 그 필요성을 인정하는 학부생 추가 참여 허용     (학부생은 석‧박사과정생 40명에 포함되지 않음) ☞ 現 비정규과정의 중점연구센터 지원사업(SRC, ERC, MRC, CRC) 연구책임자는 선정 후 기존 사업 탈퇴확약서 제출 ☞ 전임연구원 1명 이상 채용 필수 ☞ 참여율 : 연구책임자(30% 이상), 전임연구원(50% 이상), 세부 프로젝트 책임자 및 학생연구원 등 그 외 모든 참여연구원(10% 이상) ☞ 본 공고에서 지원되는 연구개발 과제는 관련법령*에 따른 ‘연구자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제한‘의 적용을 받으며, 연구자(세부 프로젝트 책임자 포함)는 최대 5개,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최대 3개까지 동시 수행을 제한함 *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64조(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) | 
※ 제출한 연구개발계획서가 상기 신청자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접수취소 또는 사전지원제외 됨
□참여조건
ㅇ 혁신도약형과제 수행(연구개발계획서의 세부 프로젝트 중 1개)
- 성공 확률이 높은 연구가 아닌 연구자가 하고 싶은 혁신적인 연구과제 수행
- 혁신적 성과목표를 제시하고 미달성 시에는 실패원인을 분석하여 다음 연구에 피드백 할 수 있는 평가 관리체계 마련
ㅇ 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 이수(자체 또는 위탁 교육, 매년 학생연구원의 20% 이상) 
- 학교 내 개설된 자체 기업가정신 수강 또는 위탁 교육 운영
*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교육, 창업 현장 및 기술창업 성공사례 교육 등
ㅇ 학생창의자율과제 수행
- 주제발굴과 팀 구성, 연구수행까지 학생연구원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설계·수행
| ☞ 운영방안 - 지원내용 : 팀별 1,000만원 범위에서 지원하고 5개 팀 이상 지원가능 - 추진방향 : 센터 내 창의과제 공모 및 선정, 과제 운영방안(팀 구성 및 멘토/멘티 방법 등)을 자율적으로 제시 ※ 수행자는 본 과제에 참여하는 석‧박사 과정생(반드시 포함)과 학부생 및 연구책임자가 인정하는 비참여학생으로 구성 가능 | 
ㅇ 전임연구원 채용(1명 이상, 참여율 50%이상)
- 박사후 연구자 등 박사급 전임연구원 채용을 의무화하고 센터별 최소 1인 이상을 학생 창의자율과제 전담 지도요원으로 지정
3. 근거법령 및 관련규정
| 근거법령 | o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16조(전문인력의 양성) o 국가연구개발혁신법, 동법 시행령 및 관련 행정규칙* *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,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,    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제한기준, 국가연구개발정보처리기준 등 o 과학기술기본법, 정보통신산업진흥법, 방송통신발전기본법 및 하위법령, 시행규칙 o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,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o 국가연구개발 시설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 | 
| 관련규정 | o 정보통신·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o 정보통신·방송 연구개발 사업비 산정 및 정산 등에 관한 규정 o 정보통신·방송 연구개발 보안관리 규정 | 
* 정보통신․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등 ICT R&D 관련 규정은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에 따라 개정 예정으로 향후 과제 선정 후 협약 시에는 개정 규정에 따라 과제 적용 예정
4. 신청요령
□ 신청방법
o 정보통신기획평가원(IITP) 사업관리시스템(ezone.iitp.kr)에 기본사항을 전산등록한 후, 신청서(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)를 첨부하여 전산접수 완료해야 함
- 직인, 서명 한 서식은 스캔하여 전산등록, 과제신청은 전산으로만 접수 받음 (방문접수, 우편접수, 현장접수 없음) 
□ 신청서(연구개발계획서/신청서류) 제출
| 공고기간 | 전산(ezone.iitp.kr) 등록기간 | 
| 2021. 3.15.(월) ~ 2021. 4.28.(수) 15시까지 | 2021. 4.15(목) ~ 2021. 4.28.(수) 15시까지 | 
| ※ 신청서 전산등록 마감시간(15시) 전 까지 반드시 전산등록을 완료하여야 함 ※ 마감시간(15시) 이후에는 수정 및 전산등록 불가함 (신청완료 확인 방법 : “확인 및 제출” 메뉴 → “제출완료” 확인) ※ 신청서식의 해당하는 모든 제출서류를 온라인(전산접수)에 등록 완료하여야 함 | |
□ 제출서류
| 번호 | 서 류 명 | 제출형식 | 제출처 | 비 고 | 
| 1 | 연구개발계획서(필수) | 전자파일 (HWP) | 전산 등록 (ezone) | - | 
| 2 | 신청자격 적정성 및 자기진단서(필수) | 전자파일 (PDF) | 신청기관(주관/공동) 각각 작성 후 제출 | |
| 3 | 연구개발기관 대표 참여의사 확인서 및 기관(기관장) 정보활용 동의서(필수) | 모든 신청기관(주관/공동) 한 장에 날인 또는 개별 낱장 제출 | ||
| 4 |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서(필수) | 신청기관(주관/공동) 각각 작성 후 제출 | ||
| 5 | 사업자등록증(필수) | 신청기관(주관/공동) 각각 제출 | ||
| 6 | 국세·지방세 완납 증명서 또는 세금분납 계획서(기업필수) | 공동연구개발기업만 제출 | ||
| 7 | 회계감사보고서/재무제표*(기업필수) | 공동연구개발기업만 제출 | ||
| o 1, 2, 3, 4번 제출서류는 공고에서 제공되는 양식을 사용하여야 함 o 4번 제출서류는 연구책임자, 세부 프로젝트 책임자, 공동연구개발기관 책임자만 작성 o 7번 제출서류 설명 - 공동연구개발기관이 있는 경우, 2019년, 2020년도 결산재무제표 원본 각 1부  - (접수마감일 기준) 창업 2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, 2020년도 결산재무제표만 제출 ※ 2020년도 결산이 마무리되지 않은 경우, 2020년도말 추정재무제표 제출 | ||||
|  | 신청 시 주의사항 |  | 
|  | ||
|  | ||
|  |  |  | 
| o 전산 등록기간 마감일에는 접속 폭주로 인한 접수지연 및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함 o 신청자의 실수로 전산접수 마감시간 이전 접속 후, 마감시간 경과로 제출완료하지 못한 경우 미제출로 사전제외 함 o 전산 등록 시,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책임자가 사업관리시스템(ezone.iitp.kr)에 로그인하여 전산 등록(일반사용자 가입 필요) o 신청기관 실수로 공고 및 지원품목을 혼동하여 타 공고 및 타 지원품목에 접수한 경우 사전제외 될 수 있음 o 연구개발계획서 등의 전자파일은 반드시 신청서상의 내용과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작성 후 전산시스템에 등록 제출 ※ 연구개발계획서의 기재사항 허위 작성 시 탈락 또는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o 제출서류 중 필수서류를 전산접수하지 않은 경우 사전제외 될 수 있음 | ||
5. 문의처
□ 상세내용 및 관련양식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(https://www.iitp.kr) 사업공고란 참조
ㅇ 사업계획서 전산등록 관련 문의 : 042-612-8060 (EZone 시스템 담당자)
ㅇ 사업 관련 문의 : 정보통신인재팀 박현유 책임(042-612-8417, hypark@iitp.kr)
□ 설명회 일정
ㅇ (일시) 2021. 3. 26(금) 14:00∼16:00(예정)
ㅇ (방법) 온라인 설명회(IITP 공식 유튜브, 네이버TV)
ㅇ (주요내용) 사업 추진방향, 신청방법 및 신청절차, 유의사항 등 신규 지원 시 필요한 사항 등